• Media type: E-Book
  • Title: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 방안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 Contributor: Kang, Moonsung [Author]; Kim, Hyung Joo [Other]; Lee, Manjong [Other]; Lee, Young Hoon [Other]; Lee, Jong-Wha [Other]; Lee, Hongshik [Other]; Park, Soonchan [Other]; Pyun, Ju Hyun [Other]
  • imprint: [S.l.]: SSRN, [2016]
  • Published in: KIEP Research Paper ; No. Policy Analysis-14-31
  • Extent: 1 Online-Ressource (365 p)
  • Language: Korean
  • DOI: 10.2139/ssrn.2784582
  • Identifier:
  • Origination:
  • Footnote: Nach Informationen von SSRN wurde die ursprüngliche Fassung des Dokuments December 30, 2014 erstellt
  • Description: Korean Abstract: 남북한 분단 이후 남북한 경제적 격차가 매우 큰 상황에서 남북한 경제체제를 통합하는 것은 경제 분야는 물론 정치, 사회, 문화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그 과정에서 극심한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남북한 경제통합의 추진 방향 및 구체적인 방안을 보다 세부 분야별로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경제통합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제통합의 주요 부문인 무역 및 투자, 화폐통합, 인적자원 활용 등 부문별 통합제도 연구와 동북아 분업구조 및 경제협력에 대한 영향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통일 과정에서의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제2장에서 남북한 경제통합 없이 정치적 무역장벽이 존재하는 현재 상황은 파레토 비효율적임을 증명하고 남북한 합의에 의해 제도적 경제통합을 달성할 수 있다면 파레토 효율적인 상황으로 옮겨갈 수 있음을 이론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의 재통일, 중국-홍콩, 중국-대만, 베트남, 예멘, EU 등의 다양한 경제통합 사례분석을 통해 통일 혹은 통합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과 통일 또는 통합의 형식을 어떻게 취하느냐에 따라 그 대응방식도 달라진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의 속도, 정경분리 방식, 법과 제도의 정비, 민간 부문의 참여, 점진적인 화폐통합, 정치적 의사결정의 메커니즘 구축 등 남북한 경제통합이 추진되어야 할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남북 경제통합의 전제인 정경분리 가정을 통한 남북한의 평화적 관계 유지는 남북한 무역과 투자의 유의한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북한 경제통합을 통한 무역과 투자의 확대 패턴은 남북한 경제 체제 및 산업 구조의 상이성, 또한 남북한 기업 사이 경쟁력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차이를 고려하여 남북한 경제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무역과 투자의 확대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한 남한 입장에서의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경제적인 거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치적인 평화가 남북한 사이에 전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가격체계 정착, 분쟁조정기구 마련, 경제특구 운영 등 남북한의 무역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이고 실제적인 틀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후략)

    English Abstract: Due to a huge economic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it is expected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ould generate various problem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reas. Therefore, to analyze issues and ways of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research on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analyzing main sectors of the economic integration, such as trade and investment, currency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and considering its impact on the regional production network and economic cooperation process in the Northeast Asia.In Chapter 2, we theoretically prov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r having political barriers to trade is Pareto-inefficient, and that it can achieve a Pareto-efficient situation by attaining institutional economic integration made by the mutual consent of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case studies on Germany, China and Hong Kong, China and Taiwan, Vietnam, Yemen, and European Union, we proposed basic directions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needs to aim at, as follows: the gradual approach of economic integration, separ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gration from military and security issues, organization of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economic integration, roles of the private sector, gradual integration of currencies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a mechanism of political ties and stable decision-making process. In Chapter 3, we proved that the peace of inter-Korean relations will boost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the pattern of expanding trade and investment through the economic integration is dependent upon differences in economic systems and industrial structures and in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political pea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a prerequisite for th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conomic transactions. And then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support a market-oriented system,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and operat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order to facilitate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Access State: Open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