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dientyp: E-Book
  • Titel: 서비스업 발전을 통한 내외수 균형성장 : 기대효과 및 리스크 (Achieving Balanced Growth Through Service Sector Expansion: Expected Benefits and Risks)
  • Beteiligte: Kim, Seungwon [VerfasserIn]; Hwang, Kwang‐Myoung [Sonstige Person, Familie und Körperschaft]
  • Erschienen: [S.l.]: SSRN, [2015]
  • Erschienen in: Bank of Korea WP 2014-4
  • Umfang: 1 Online-Ressource (34 p)
  • Sprache: Koreanisch
  • DOI: 10.2139/ssrn.2580598
  • Identifikator:
  • Entstehung:
  • Anmerkungen: Nach Informationen von SSRN wurde die ursprüngliche Fassung des Dokuments March 14, 2014 erstellt
  • Beschreibung: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외수요 위축으로 종래 제조업-수출 위주의 성장전략이 한계를 나타냄에 따라 수출-내수간 균형성장과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대안으로서 서비스 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전될 경우 내수 촉진에 따른 수입 증가로 경상수지 흑자가 감소하고, 비교역재 가격 상승으로 실질환율이 상승(통화가치가 절상)하여 교역재 부문의 국제경쟁력 저하와 경제성장률 하락 등을 초래할 위험도 있다. 본고에서는 서비스업 발전을 통한 균형성장 전략의 기대효과와 리스크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가패널 자료를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제조업과의 산업연관관계를 보다 긴밀히 할 경우 서비스업 발전을 통해 경제 전체의 생산성을 유의하게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업 비중의 확대는 실질환율 상승과 경상수지 악화를 수반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서비스업 비중 확대가 서비스업의 생산성 제고와 함께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리스크 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감안할 때 서비스업 발전을 통한 내외수 균형전략이 단순히 서비스 부문의 비중 확대만으로 이뤄지기보다는 질적 성장을 통해 양적 성장이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고정자본투자 확대를 통한 자본장비율 제고, R&D 투자 확대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English Abstract: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manufacturing-export-driven growth strategy has shown its limitations due to a slowdown in external demand. Thus the need for a stronger service sector is emerging to ensure a balanced growth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markets and to develop new drivers of growth. On the other hand, if the economy becomes more service-oriented, a growing internal demand would lead to an increase in import and subsequently to a decrease in current account surplus. Also, rising prices of non-tradable goods could trigger a rise in real exchange rates (currency appreciation), posing a risk of making tradable goods less attractive in international markets and bringing down economic growth rates. This paper provides (i)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xpected effects of balanced growth strategies with a focus on the service sector expansion, as well as relevant risk factors, and (ii)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A regression analysis using country panel data suggests that a highly productive service sector with stronger linkages to a manufacturing sector is associated with a higher productivity growth in the whole economy. Meanwhile, the service sector expansion could also lead to rising real exchange rates and deteriorating current account balance. Still, those risk factors would diminish if such expansion is accompanied by higher productivity in the service sector. Thus it will be desirable to achieve a balanced growth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markets by pursu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in the service sector, rather than merely by focusing on its expansion in size. To boost the productivity of the service sector, we need to step up efforts to improve capital equipment ratio by increasing fixed-capital investment and to invest more in R&D
  • Zugangsstatus: Freier Zug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