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dientyp: E-Book
  • Titel: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연구(A Study o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 the Era of Biden Administration : Policy Recommendations for South Korea)
  • Beteiligte: Kim, Heungkyu [VerfasserIn]; Lee, Wang Hwi [VerfasserIn]; Seungjoo, Lee [VerfasserIn]; Jo, Yanghyeon [VerfasserIn]; Lee, Chang-Ju [VerfasserIn]; Lee, Sang Hyun [VerfasserIn]; Chung, Jae-Hung [VerfasserIn]; Boo, Hyeong-Wook [VerfasserIn]; Cha, Du Hyeogn [VerfasserIn]
  • Erschienen: [S.l.]: SSRN, [2021]
  • Erschienen in: KIEP Research Paper, 단행본
  • Umfang: 1 Online-Ressource (335 p)
  • Sprache: Koreanisch
  • DOI: 10.2139/ssrn.3920848
  • Identifikator:
  • Entstehung:
  • Anmerkungen: Nach Informationen von SSRN wurde die ursprüngliche Fassung des Dokuments July 20, 2021 erstellt
  • Beschreibung: Korean Abstract: 이 연구는 바이든 시기 미중 전략경쟁 상황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한국이 장차 어떠한 전략ㆍ정책을 취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미중 간의 전략경쟁은 전 세계를 공간으로 하면서, 과학ㆍ기술 전쟁, 군사경쟁, 지전략 경쟁으로 확산ㆍ심화되고 있다. 미중 전략경쟁은 그 자체로 한국의 외교ㆍ안보ㆍ경제에 위기를 가져오지만, 동시에 한편으로는 한국이 강국으로 부상할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그 과정은 순탄하지 않다. 한국이 주저앉을 수도 있으며, 끊임없이 선택의 압박에 직면할 것이다. 미중 전략경쟁의 미래도 불확실하다. 기존의 규범과 관행, 원칙에 입각해서는 예측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수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중 전략경쟁의 향배를 조심스레 추정해보고 이것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중 전략경쟁의 향배에 대해서는 논리적으로 다음의 네 가지(신냉전, 전략적 협력 속 경쟁, 전략경쟁 속 제한된 협력, 미중 공진 혹은 타협)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시나리오마다의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고,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 가지 강조할 점으로, 우리가 너무나 당연시 하는 기존 두 가지 전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하나는 미중 전략경쟁이 당연히 장기전이 될 것이라는 가정이다. 다른 하나는 미중 경쟁에서 미국 우위의 필연성을 가정하고, 공고한 한미동맹은 상수로서 가져가야 한다는 신념이다. 실제 이미 시나리오에서 나타났듯이, 중국의 지역패권 확립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우리의 호불호나 의지와는 관계없이 이 모두가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상정하면서 한국의 대응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고민과 상상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바이든 시대 미중 전략경쟁에 대한 한국의 대응책으로 ‘결미연중(結美聯中) 플러스’ 전략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우리의 외교ㆍ안보ㆍ경제적 자율성을 확대하는 ‘중강국’ 전략을, 그리고 비전으로는 ‘강국으로 약진하는 새로운 국가’상을 정립해야 한다. 조바심에 기인하여 미중 간에 섣부르게 선택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북한에 대해서는 대항적 공존전략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불확실한 전환기의 실리적 외교ㆍ안보 정책은 성급한 선택의 도박(benefit-maximizer) 전략보다는 비용을 최소화(cost-minimizer)하는 전략이 우선이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 the Biden era and explore future strategy and policy options for Korea.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has recently increased in science and technology, military, and geo-strategic terms on a global scale. This competition has provided Korea with an opportunity to rise as a great power, together with various challenges in diplomatic, security, and economic terms. This process will naturally come with certain difficulties. Korea could face the constant pressure of making choices. The consequences of the strategic competition are uncertain. It accompanies a paradigm shift in which numerous events and behaviors cannot be explained and predicted with given norms, patterns, or practices.It is imperative to evaluate the possible consequences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The following four scenarios are possible:- A new form of Cold War- Strategic competition with complementary cooperation- Strategic cooperation with complementary competition- US-China coevolution or compromiseThis study evaluated each scenario and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Noteworthy is that two broadly accepted assumptions must be reexamined under these new circumstances. First is the assumption that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will be protracted. The second assumption lies in the belief of US superiority over China and the solid US-ROK alliance as a constant factor. In reality, we could consider a scenario where China assumes regional supremacy over East Asia. Regardless of any wishes on our par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all these assumptions as variables, and to remain flexible and creative when formulating counter-strategies. This study tentatively suggests strategy to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to the global level. The ROK-US alliance remains the pillar of the ROK’s diplomatic and security policies. However, the ROK must also respect its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China. More importantly, the ROK has worked hard to establish active collaboration with like-minded countries. The ROK should not fall into the trap of rashly choosing one country over the other, and instead opt for a strategy which minimizes possible costs rather than maximizing potential benefits
  • Zugangsstatus: Freier Zug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