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dientyp: E-Book
  • Titel: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The Evalu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Four Major Cooperation Tasks)
  • Beteiligte: Kim, Young Jin [VerfasserIn]; Hyun, Seung-soo [VerfasserIn]; Lee, Jong Hwa [VerfasserIn]; Jeong, Soomi [VerfasserIn]; Sung, Jinsok [VerfasserIn]; Lee, Sangche [VerfasserIn]; Jung, Sunmi [VerfasserIn]
  • Erschienen: [S.l.]: SSRN, [2022]
  • Erschienen in: KIEP Research Paper, 연구보고서 21-33
  • Umfang: 1 Online-Ressource (385 p)
  • Sprache: Koreanisch
  • DOI: 10.2139/ssrn.4091577
  • Identifikator:
  • Entstehung:
  • Anmerkungen: Nach Informationen von SSRN wurde die ursprüngliche Fassung des Dokuments December 27, 2021 erstellt
  • Beschreibung: Korean Abstract: 중앙아시아는 1991년 소연방의 해체로 독립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5개국을 지칭한다.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는 강대국의 지역 통합 프로젝트의 요충지로 주목받아 왔으며 러시아와 중국, 그리고 미국의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현장이다.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자원을 주로 수출하는 경제 구조를 지닌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탄소중립이라는 국제적 흐름에 발맞추어 제조업을 장려하여 산업 구조를 다각화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활동이 일상화되면서 인구밀도가 낮은 중앙아시아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2022년은 한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이 수교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은 지난 30년 동안 중앙아시아 국가의 주요 수입 상대국으로 성장하였다. 2020년 각국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카자흐스탄의 3위 수입국이고, 우즈베키스탄의 4위 수입국이며, 다른 중앙아시아 3개국의 7~9위 수입국이다. 반면 중앙아시아는 한국 전체 수출입의 1% 미만을 차지하는 데 그쳐 주요 교역국에 속하지는 않는다.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교역품목 또한 양자의 경제 구조 및 경제 발전 수준의 차이 때문에 일부 품목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과 경제현대화 정책으로 인해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및 사회 구조에 대대적인 변화를 이루면서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협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해 경제현대화와 산업 구조를 다각화하는 데 힘쓰고 있으며, 국내 투자를 확대하고 해외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하고자 자국 내 현대화를 추진 중이다. 또한 탄소중립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세계적 흐름에 따라 경제의 디지털화를 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의료물자 부족 등 의료ㆍ보건 위기를 겪으면서 보건의료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정책을 펼치고 있다. 즉 중앙아시아 각국에서는 보건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안정적인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의 협력관계는 일부 품목의 수출입으로 한정되었던 것을 넘어서 중장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한-중앙아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정치, 외교, 경제 분야의 협력 성과를 평가하고, 4대 협력과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각종 1차, 2차 문헌자료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 주제에 대한 내용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정치, 외교, 경제 분야의 협력 현황과 특징, 그리고 4대 협력과제(디지털 협력, 신재생에너지 협력, 금융 협력, 보건의료 협력)의 현황과 협력 성과를 분석하는 데 문헌자료와 통계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세부 주제와 관련된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연구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특히 4대 협력과제를 중심으로 전문가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연구 방향 및 정책 제안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지조사 및 현지 전문가와의 세미나 및 면담 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국내 및 중앙아시아 현지에 거주하는 중앙아시아 출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서면 인터뷰에 대한 답변을 연구보고서에 반영함으로써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감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중략)

    English Abstract: Central Asia refers to five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Kyrgyzstan, Tajikistan, and Turkmenistan, which became independent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e Region, located in the heart of the Eurasian continen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key promising participant for regional integration projects of major powers, and is the site of fierce geopolitical competition between Russ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Central Asian economies which are dependent on the export of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and natural gas, are diversifying their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policies to encourage manufacturing industry in line with the transition to a global carbon-neutral era, and are implementing policies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as non-face-to-face activities have become normal due to the COVID-19 crisis, digital transformation including ICT industry is accelerating in Central Asia, where population density is low. 2022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Korea has grown into an important import partner in Central Asia over the past 30 years. According to the official statistics of each country in 2020, Korea is the third largest importer of Kazakhstan, the fourth largest importer of Uzbekistan, and the seventh and ninth largest importer of remaining three Central Asian countries. On the other hand, Central Asia is not a major trading partner for Korea, as it accounts for less than 1% of Korea’s total exports and imports. Trade items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are also limited to some items due to differences in economic struc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is increasing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conomic modernization policies of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led to major changes i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of Central Asian countries. Central Asian countries are striving to modernize their economies and diversify their industrial structures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are pushing for modernization of the domestic financial sector to expand domestic investment and successfully attract overseas investment.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the carbon-neutral era, the develop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s being promoted, and the digitalization of the economy is being pursued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same time, governments in each country are implementing improvement policies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in health care sector as they face medical and health crises such as the shortage of medical suppli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In other words, important tasks emerging in Central Asian countries is to successfully overcome the health crisis and promote stable economic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mportant future cooperation tasks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n countries is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cooperation limited to some items and to discover areas of cooperation for building mid- to long-term cooperative relationship. In celeb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diplomacy and economy, and to analyze the four major cooperation areas in depth. First,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opic of this report were analyzed and organized using various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These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were actively us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olitics, diplomacy, and economy in Korea and Central Asia, and to analyze the cooperation status and performance of four major cooperation areas: digital cooperation, renewable energy cooperation, financial cooperation, and health care cooperation.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is study by obtaining the opinions and advice of experts, a number of experts related to each subject were invited and expert meetings were held. In particular,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directions and policy proposals of this study were enhanced b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focusing on the four major cooperative areas. Third, due to the COVID-19,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local experts were practically difficult, so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from Central Asia working in government, academia, and private sector living in Korea and Central Asia.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vivid information and conduct realistic research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se written interviews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this study comprehensively evaluates the economic and diplomat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over the past 30 year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areas with high potential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by reflecting the rapidly changing globa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the rest omitted)
  • Zugangsstatus: Freier Zug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