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dientyp: E-Book
  • Titel: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Ten Years of Korea-EU FTA : Achievements and Way Forward)
  • Beteiligte: Joe, Dong Hee [VerfasserIn]; Kim, Jong Duk [VerfasserIn]; Jang, Young-ook [VerfasserIn]; Oh, Tae Hyun [VerfasserIn]; Lee, Hyun Jean [VerfasserIn]; Chung, Min-Chirl [VerfasserIn]; Yoon, Hyung Jun [VerfasserIn]; Kang, Yoo-Duk [VerfasserIn]
  • Erschienen: [S.l.]: SSRN, 2022
  • Erschienen in: KIEP Research Paper, 연구보고서(PA) ; 21-31
  • Umfang: 1 Online-Ressource (224 p)
  • Sprache: Koreanisch
  • DOI: 10.2139/ssrn.4270056
  • Identifikator:
  • Entstehung:
  • Anmerkungen: Nach Informationen von SSRN wurde die ursprüngliche Fassung des Dokuments December 30, 2021 erstellt
  • Beschreibung: Korean Abstract: 본 보고서의 집필 시점인 2021년은 한ㆍEU FTA가 발효된 지 만 10년이 되는 해이다. 2011년 발효된 한ㆍEU FTA는 한국이 대규모 교역상대와 체결한 최초의 FTA이자, EU가 추진한 차세대 FTA의 첫 사례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발효 1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한ㆍEU FTA의 의의를 돌아보고, 한ㆍEU FTA의 영향을 무역, 투자, 서비스, 대 EU 진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한국과 EU의 경제관계는 한ㆍEU FTA 발효 10년간 단순히 무역과 투자가 활성화된 것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측의 경제관계를 더욱 발전시킨다면 한국과 EU가 공히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 신기술, 통상갈등 등 중요한 경제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English Abstract: The year 2011 marked the 10th anniversary of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Korea and the European Union (EU). The Korea-EU FTA was Korea’s first FTA with a major trading partner and the first case of the EU’s “next generation”FTAs. At the 10th anniversary of its entry into force, this report looks back on the meaning of the Korea-EU FTA and analyzes its impact on the bilateral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conomies. This report finishes with proposals in four areas for further deepening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EU beyond the FTA, namely hydrogen economy, digital economy, start-up and audio-visual co-production
  • Zugangsstatus: Freier Zugang